■ 진행 : 이승민 앵커, 김대근 앵커 <br />■ 출연 : 류재복 해설위원 / 김경우 인제대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신규 확진자가 1,316명으로 이틀 연속 최다 기록을 경신했습니다.정부는 수도권에 4단계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2주간 강력한 방역수칙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.류재복 해설위원, 김경우 인제대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관련 내용 살펴보겠습니다. 두 분 안녕하십니까? 신규 확진자가 1316명을 기록했습니다. 하루 만에 또다시 최대치 기록을 경신했어요. <br /> <br />[류재복] <br />추세가 그렇게 올라가는 추세니까요.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아직 유행의 정점에 왔다고 보지 않습니다. 방역 당국은 초입이라고 얘기를 했고요. 과거의 유행 양상을 보면 유행이 꼭지점까지 올라가는 데 보통 3주에서 4주 정도 걸렸고요. 이게 평상시로 돌아오는 데 한 두 달, 그러니까 조금 가파르게 올라가고 완만하게 내려오는 그런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. 이번에도 아마 그럴 방향으로 갈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한 가지 희망적인 것은 다음 달에 백신 접종이 크게 늘어나면 아마 8월 말쯤 되면 어느 정도 안정세를 띨 것으로 보는데 그러면 문제는 지금의 오르막 추세가 언제까지 가고, 어디까지 갈 것이냐 이런 문제들이죠. 그런데 오늘 고강도 대책이 나왔기 때문에 이 대책이 효력을 내는 기간을 열흘에서 2주쯤 잡으면 앞으로 한 열흘 정도가 환자 수가 굉장히 많아지는 구간이 되지 않을까. 저는 그렇게 예상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언제까지 이 확산세가 갈까, 그리고 얼마나 갈까. 이게 중요한 문제로 보이는데 정은경 청장 같은 경우에는 하루 확진자가 최대 2140명까지 나올 수 있다, 이런 경고를 하기도 했거든요. 교수님은 어떻게 전망하세요? <br /> <br />[김경우] <br />일단 최대한 보수적으로 말씀하신 것 같고요. 최근에 발표된 민간 전문가와 합동으로 분석한 수학적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예를 들어서 감염재생산지수가 1.7이면 2주 후에 2140명, 2000명대에 이를 것이다 이렇게 분석이 됐는데. 지금 최근 3일간 환자 발생 양상이 이 그래프를 벗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미 6월 말에 약간 서서히 증가세가 보이면서, 그런데 이때는 60대 이상 어르신들은 감소하지만 수도권 중심으로 감염 증가가 있었던 시점이 되겠고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혜민 (kimhm04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70910380676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